로그인 회원가입 ENGLISH
대한혈관학회 홈페이지를 방문하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The KOVAS's Pick

연구회 Pick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증가된 aortic pulse wave velocity는 뇌 회백질 변화와 관련 있다. kvrwg 2022.01.20 2834

 증가된 aortic pulse wave velocity는 뇌 회백질 변화와 관련 있다.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21;41:3015-3024.


기존 연구들에 의하면 노인에서 aortic stiffening의 증가가 인지기능 저하를 유발하고, 치매 발병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 인구에서 연구 등록 시 증가된 aortic pulse wave velocity (PWV)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경 퇴행 유발 및 뇌 회백질 손상에 기여하는지를 평가하였다. Aortic PWV의 측정은 심장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를 이용하였으며, 뇌 회백질의 볼륨 및 백질 (white matter)의 hyperintensity (WMH) 볼륨 측정, 또한 뇌 MRI를 이용하여 기저, 18개월, 3년, 5년, 7년에 걸쳐 측정하였다. 혼합효과 회귀 분석 (Mixed-effects regression models) 방법을 이용하여, 기저 aortic PWV 측정치와 뇌 회백질의 각각의 볼륨 (total, frontal, parietal, temporal, occipital, hippocampal, and inferior lateral ventricle) 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는 나이, 성별, 인종, 교육 정도, 인지기능 정도, Framingham 위험인자 등과 같은 변수들을 보정하여 분석하였다.
총 278명의 환자들 (73±7 세, 남성 (58%), 정상 인지기능 (159명), 경한 인지기능 손상 (119명))을 대상으로, 2012년 9월부터 약 2년 동안 aortic PWV 측정을 수행하였고, 2012년 9월부터 2021년 6월까지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뇌 MRI 측정을 통한 추적 관찰을 하였다.
연구 결과, aortic PWV가 기저에 높았던 군에서 hippocampal (β=-3.6 [mm3/y]/[m/s]; [95% CI, -7.2 to -0.02] P=0.049)과 occipital (β=-34.2 [mm3/y]/[m/s]; [95% CI, -67.8 to -0.55] P=0.046) 영역의 회질엽 볼륨이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기저 aortic PWV가 높은 경우, temporal (β=17.0 [mm3/y]/[m/s]; [95% CI, 7.2-26.9] P<0.001) 영역 백질의 hyperintensity (WMH) 볼륨이 시간에 따라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Key message
1. 기저 aortic PWV가 증가된 고령의 환자에서 hippocampal and occipital 엽의 회질 볼륨의 감소 및 temporal 엽의 WMH 볼륨의 증가 소견이 두드러졌다.
2. Arterial stiffening 은 temporal 엽과 같이 매우 활동적인 특정 뇌 영역에 우선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는 점을 시사하며, 같은 영역이 알츠하이머병 초기에 영향을 받는 곳이다. 

[요약] 이선기 /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순환기내과
첨부파일